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신철휴

추천0 조회수 16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철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신철휴 호 : /해영 활동시기 : 근대이후 상세설명 고령인 신철휴선생은 1898년 5월 17일 고령군 고령읍 연조동에서 진구의 아들로 태어났다. 호는 해영이며 별명은 우동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성품이 굳셀 뿐 아니라 도량이 넓고 재주가 있어 한학에 조예가 깊었고 붓글씨 또한 잘 썼으며 애국심이 매우 투철하고 효심이 지극했다. 1918년 5월 그는 국가와 민족의 쇠망을 개탄하고 일제의 탄압과 착취에 분개한 나머지 뜻한바 있어 해외 망명을 꾀하고 만주로 건너갔다. 그때 이상룡‚ 이시영‚ 김동삼 등의 지사들이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독립투사를 양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으로 달려가 입학하였으나 행동으로 독립을 찾아야 한다 하여 학교를 나와 김원봉 이종암과 함께 상해로 가‚ 동포인 김성근이 그 제조법에 능한지라 그로부터 사제 폭탄 만드는 법을 익혀 길림으로 돌아와 1919년 11월 9일 한봉근‚ 김원봉‚ 한봉인‚ 이종암‚ 서상락‚ 이성우‚ 김상신‚ 곽경‚ 강세우‚ 권준‚ 윤세주 등과 함께 13명의 동지들이 만주 길림성 파호문 밖 중국인 반씨 집에서 회합을 열어 조국광복의 촉진을 위하여 총독부‚ 동양척식회사 식산은행 재판소‚ 경찰서 또한 매일신보사 등 일제의 중요 기관을 파괴하는 한편 고관 대작을 암살하는 등 행동 계획을 세워 지구적 행동을 꾀하자 하고 의열단을 그해 11월에 조직하였다. 의열단 본부는 상해로 정하고 국내외에 걸쳐 행동을 개시하였다. 그해 12월에 김원봉‚ 곽재기‚ 이성우 등은 상해에 파견하고 윤소룡‚ 김대희‚ 이낙준 등은 단원모집의 사명을 띠고 황상규‚ 윤치형‚ 배중세 등은 군자금 조달과 무기반입의 책임을 맡고 국내로 들어갔으며 그는 이종암과 함께 길림성내에 남아 각처 연락의 책임을 맡았다. 1920년 2월 하순경 길림에서 국내로 들어와 경남 밀양에서 윤소룡‚ 이성우 등을 만나 3.1절 기념 거사를 모의하였으나 준비상 조건이 맞지 않아 애석하게도 시기를 놓치고 말았다. 1921년 6월 그는 서울 인사동 중국인 요정에서 이성우‚ 윤소룡‚ 김대희 등 동지와 더불어 긴급거사를 결의하는 한편 각자 실행 목표를 분담한 바 그는 동척파괴를 책임 맡고 즉시 부산에 있는 윤치형‚ 배중세에게 연락하여 폭탄 및 권총을 우반케 하던 중‚ 당시 동지가운데 변절한 구녕필의 밀고로 거사 직전에 여러 동지와 함께 경기도 경찰부에 붙잡혀 김태석 경부의 모진 고문을 받고 검사국으로 넘어가 서울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약 1년에 걸쳐 예심을 끝내고 1922년 5월 치안유지법 위반죄로 7년형의 실형 선고를 받은 것을 비롯하여 전원 실형 언도를 판결 받았으나 즉석에서 전원이 공소를 포기하고 원심대로 옥고를 치른‚ 이른바 제 1차 의열단 사건이다. 1927년 10월 길림성 영고 탑에서 동지인 이종암이 비밀리에 입국하여 경남 밀양을 거쳐 대구시 원대동 이기양 선정에 숨어서 재차 의열단의 재기 운동을 협의코자 그를 비롯하여 김관제‚ 배중세‚ 김재수‚ 이주헌‚ 이기양 등 동지들로 하여금 수차에 걸쳐 회합하고 우선 자금 조달을 하기 위하여 경남북 일원을 무대로 모금 활동을 하던 중‚ 역시 변절한 자의 밀고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는 여러 동지와 함께 경북 경찰부에 붙잡혀 최석현 경부의 모진 고문을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3개월 옥고를 겪고 풀려 나왔다. 그 이듬해인 1928년 그는 다시 청주 일심단 김철사건의 혐의로 또 다시 3개월의 옥고를 치른 것을 비롯하여 사건 때마다 예비 검속을 당하면서도 끝까지 굴하지 않았다. 1945년 기쁨의 광복을 맞아 군인들의 일시적 혼란을 막고 치안유지를 위해 고령치안 유지 회장직을 맡았으며 중경 임시정부 요인 환영회 위원을 맡는 등 광복 후에도 향토 발전은 물론 민족계몽운동을 계속하였다. 1977년 12월 13일 건국포장을 수상 받았고 그밖에 향토의 각계 각층으로부터 많은 공적패 감사장 등을 받았다. 그러나 1980년 1월 23일 세상을 떠나니 온 군민의 애도 속에 그 달 28일 고령군청 광장에서 고령군민 장으로 거행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