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의상(義湘)

추천0 조회수 17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의상(義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의상(義湘) 활동시기 : 통일신라시대 시대 : 통일신라시대 상세설명 신라 화엄종찰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은 서기 (신라 진평왕 47년) 당시의 서울 경주에서 귀족 김한신의 아들로 태어나 부유한 집안에서 자라났으나. 뜻한 바 있어 그의 나이 18세 되던 서기 643년(선덕여왕 12년)에 경주 황복사에서 삭발하고 출가하였다. 그후 중국에 가서 부처님의 교화(敎化)를 얻으려고 원효(元曉)와 함께 요동으로 갔으나 변방 고구려 순러군의 정탐자에게 잡혀 옥에 갇혀있기 수십일 만에 간신히 빠져나와 되돌아 옴으로서 그의 첫 번째 입당구도의 꿈은 깨어졌다. 그후 의상은 서기 661년(문무왕1년)에 중국으로 들어가 지엄의 제자가 되었으나‚ 당 고종이 장차 크게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치려 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의상은 서기 671년(문무왕11년)에 귀국하였다. 의상이 이렇게 당나라에 유학하여 스승인 지엄 으로부터 화엄불교를 공부한 것은 10년간이며‚ 이 10년 동안은 의상의 나이 36세로부터 46세에 이르는 중요한 시기에 해당한다. 의상의 스승 지엄은 중국 화엄종의 제2조로서 화엄학의 기초를 다진 인물이다. 의상은 당나라에 머무르는 동안 남산율종(南山律宗)의 개조(改祖) 도선율사(道宣律師)와 교유(交遊)하기도 했다. 더욱이 당시의 동문(同門) 현수(賢首)와의 교유는 참으로 유익한 것이었다. 의상이 신라로 돌아온 후도 이들과의 교유는 끊어지지 않아 현수는 의상에게 저술(著述)의 서신을 보냈고 또 의상은 현수에게 금을 선물하기도 했다. 의상의 귀국 동기는 당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본국에 알리는데 있었으나‚ 송고승전(宋高僧傳)에는 화엄종을 펴기 위한 것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가 신라로 돌아온 그 해에는 낙산사의 관음굴에서 관세음보살에게 간절한 기도를 드렸는데 이때의 발원문이 백화도장 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인데 261자로 된 간결한 명문이 남아 있다. 그후 의상은 서기 676년(문무왕 16년)부석사를 창건하기까지 전국의 산천을 두루 돌아다니며‚ 화엄종을 펼 터전을 마련하는 동시에 많은 제자를 가르치기에 게을리 하지 않았다. 특히 경주의 황복사에서 표훈‚ 진정 등 의 제자들에게 화엄 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가르쳤다는 것으로 보아 부석사를 창건하기 전부터 그에게는 훌륭한 제자들이 많았고 부석사의 창건에 이들 제자들의 도움이 컸으리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의상은 일생을 구도(求道)와 교화로 보내셨는데‚ 특히 귀국후 그의 교화활동은 한국 불교사상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의상 이전에 이미 우리나라에 화엄종이 전개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화엄사상이 한국 불교사상 큰 주류가 된 것은 의상이 교화에 의한 것임이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의상이 화엄사상을 전하기 위해 건립한 사찰은 전국에 열곳이나 되는데 부석사를 비롯하여 전국 유명사찰을 든다면 가야산 해인사. 계룡산 갑사. 금정산 범어사 등이 있고 그 밖에 우리 고장의 순흥 초암사도 의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그리고 의상이 주로 활동하던 곳은 부석사를 중심으로 한 소백산과 태백산 일대의 여러 사찰 들이었고‚ 부석사는 화엄종의 총본산이며 그것으로 말미암아 이 고장을 고려시대 불교문화의 중심지로 꽃피우게 했던 것이다. 물론 의상이 이곳에만 머물러 있었던 것은 아니고‚ 구름처럼 정처없이 떠다니며 그가 마음에 드는 곳이면 어디든지 머물렀던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그를 따라 모여드는 사람이 많았다고 하니 그의 인품과 교화사상을 짐작할 수 있다. 의상은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중요한 것은 아래와 같다. ·심문간법관(十門看法觀)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 記) ·소아미타의기(小阿彌陀義記) ·화엄일승계도(華嚴一乘界圖) ·백화도장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