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이암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이암 호 : 고운/행촌 활동시기 : 고려시대 상세설명 선생의 휘는 암( )이요 초명은 군해(君 )이고 자는 고운(古雲)이고 초자는 익지(翼之)라 하였고 호는 행촌(杏村)이며 본관은 철성(鐵城)으로 1297년(고려 충렬왕 23년)에 태어났으며 고려 말기의 문신이고 뛰어난 서화가(書畵家)였다. 고려 원종초(元宗初)에 문과에 급제하여 국학박사(國學博士)‚ 직한림(直翰林)‚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하고 충렬왕 초에 상서우승(尙書右承)‚ 사의대부(司議??)를 거쳐 좌승지(左承旨)에 올랐다. 1279년(충렬왕 5년)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오고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지말직사사(知密直司事)‚ 세자원빈(世子元賓)‚ 감찰대부(監察??)를 역임하고 뒤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다. 1287년(고려 충렬왕 13년) 일본(日本)을 정벌할 때 경상‚ 충청‚ 전라도 순문사(巡問使)가 되어 병량과 군선을 조달했던 문희공(文僖公) 이존비(李尊庇)선생의 손자이고 충숙왕(忠肅?) 때 사람으로 김해‚ 준양부사(金涇 准陽府使)를 거쳐 전주‚ 진주 목사(牧使)를 지냈고 위주사 도원수(位舟師 都元帥)와 문하시중(門下侍中)‚ 그리고 상서병부(尙書兵部)의 판사(判事)‚ 경령전(景靈殿)의 서장관사(書掌觀事)가 되었으며 문장과 덕행이 높았다. 그후 신덕수 의근성 익조공신(愼德守 義勤誠 翊祚功臣)‚ 벽상 삼한삼중대광(壁上 三韓三重?匡)으로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 졌던 문헌공 이우(文憲公 李 )선생의 아들이었다. 선생은 1313년(고려 충선왕 5년)에 17세로 문과에 급제하여 충숙왕(忠肅?)이 선생의 인재를 사랑하여 비서성 교감(秘書省 校勘)‚ 도관정랑(都官正郞)이 되었다. 충혜왕 초에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密直代言 兼 監察執義)가 되었으나‚ 1332년(충숙왕 1년)에 충숙왕(忠肅?)이 복위하자 충혜왕(忠??)의 총애를 받았다하여 해도(涇島)에 유배 되었다가 1340년(충혜왕 복위 1년)에 충혜왕이 복위하자 지신사(知申事)‚ 동지추밀원산(同知樞密院事)가‚ 정당문학(政堂文學)‚ 첨의평리(僉議評理)등을 역임하고 충목왕(忠穆?) 때 찬성사(贊成事)를 거쳐 좌정승(左政丞)이 되었다. 1359년(공민왕 8년)에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하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서북면 도원수(西北面 都元帥)가 되어 이를 막아 싸우다가 전직하여 왕을 호종하여 복주(福州)에 남하(南下)한 공으로 1등공신이 되고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 졌다. 선생은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글씨는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렸으며 대갑편(?甲篇)을 옮겨 써서 왕에게 바쳤다. 그림은 묵죽(墨竹)에 능했다. 1364년(고려 공민왕 13년)에 졸 하니 향년 68로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1375년(고려 우왕 1년)에 충정왕(忠定?)의 묘정(廟廷)에 배향되고 작품에는 글씨에 문수원 장경비(文殊院 藏經碑)로 춘천 청평산(春川 ?平山)에 있으며 저서에는 농상집설(農桑集說)이 있다. (참고문헌: 인명대사전‚ 국사대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