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퇴화문유병(3000594)

추천0 조회수 14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퇴화문유병(3000594)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홈 산업활용 3D 콘텐츠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주소복사 인쇄 스크랩 3D 콘텐츠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재 및 민속생활용품 등 원천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의 창조적 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3D프린팅 출력 가능한 디자인 소스(WRL‚ OBJ‚ STL)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산업활용3D 분류 패션 생활/소품 인테리어 관광/전시 문구/완구 주방 교육/학습 청자퇴화문유병(3000594) 문양사용신청 시 문양코드복사 후 입력해주세요. 문양 코드 복사 크게보기 3D 뷰어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크기조절 가이드 국적/시대 한국/고려 재질 도자기/청자 용도 화장품용기‚ 병 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원천유물설명] 청자 기름병은 고려시대의 화장품용기 중에 하나이다. 화장품 용기 중에는 청자 기름병이 가장 많은 편이다. 청자 기름병은 신라의 토기 기름병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몸통이 넓어지고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를 가져온다. 순청자 기름병이 바로 이러한 것으로서 무늬가 엷게 음각 되어있다. 순청자 기름병 중에는 신라 토기 기름병의 일반형처럼 몸통이 원형에 가까운 것도 있다. 고려시대의 유병은 형태와 문양 또한 다양하다. 이와 같이 유병의 형태와 무늬가 다양한 까닭은 기물 형태에 대한 기호가 시대에 따라서 달라진 점도 있지만‚ 각기 다른 기름을 담은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유병 중에서 비교적 큰 토기유병은 소비량이 많은 머릿기름 저장용이었으리라고 보인다. 반면에 아주 소형의 청자병들은 향수(엄밀히 말하면 꽃잎을 압착시켜서 만든 즙)를 담은 것이다. 따라서 소형이면서도 표주박 모양에 아래 몸통은 7면으로 하는 등 정교하고 앙증스럽게 만들었다. 이 병들은 몸체와 같은 재질의 뚜껑을 덮은 것도 있고‚ 뚜껑이 아예 없는 것도 있다. 종이와 헝겊으로 뚜껑을 대신하였는데‚ 뚜껑이 있는 것도 종이나 헝겊 따위로 뚜껑 갈피에 끼워 증발을 막았다. 본 청자 기름병은 주판알과 같이 납작해서 무게중심이 밑으로 내려와 안정된 자세를 보인다. 어깨에 백토와 흑토를 사용해서 찍은 퇴화무늬기법을 사용해 풀잎사귀와 같은 문양을 베풀었다. 색조는 녹색을 띤 회청색이며 굵은 빙렬이 보인다. 낮은 굽으로 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내고 세 곳에 내화토를 받쳐서 구웠다. [활용설명] 청자 기름병의 형태를 활용하여 주방용품을 개발하였다. 주판알처럼 생긴 몸통의 모습이 앙증맞은데‚ 약간 어그러진듯하지만 전체적으로 균형감을 갖춘 모습으로 만들었다. 요즘은 화장도구로 이러한 형태의 기름병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주방용품으로 변환시킨 것이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에서 서비스 되는 3D콘텐츠를 활용하였습니다. 문양사용신청 목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