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 개최

추천0 조회수 1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9-06-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부서‚ 담당자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 개최 등록일2009-06-22 조회수652 담당부서 미술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 개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2009년 6월 23일부터 2009년 10월 11일까지 미술관Ⅱ 백자실에서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불교 의식구이자 일상 생활용품인 정병?甁을 깊이 있게 조명하여 정병이 가진 공예적인 특징과 종교적인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고려시대 금속기와 도자기 정병을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첫 번째 전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을 대표하는 <물가풍경 무늬 정병>(국보 92호) 이외에 <청자 물가풍경 무늬 정병>(보물 344호) 등 10여 점의 정병이 공개되는 이번 전시는 같은 시대에 제작된 같은 기형器形의 공예품이 재질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지 비교해 볼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입니다. 또한 정병이 어떤 과정을 거쳐 관음신앙에 수용되었는지 알 수 있는 삼국시대 <관음보살>(국보 127호)과 금으로 만든 2.6센티미터 크기의 조그마한 고려시대 보살상도 함께 전시됩니다. 특히 다양한 장식 무늬를 확대한 그래픽 자료는 그동안 작품이 작아서 혹은 무늬가 뚜렷하지 않아서 잘 볼 수 없었던 공예품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는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할 것입니다. 정병은 부처나 보살에게 바치는 맑은 물을 담는 물병의 하나이지만‚ 일반적인 물병과 달리 물을 담는 주구注口와 물을 따르는 첨대尖臺로 이루어진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중국 북송의 서긍徐兢이 1123년 고려를 방문한 후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使高麗圖經』에는 이러한 형태의 물병을 ‘정병’이라고 한다고 정확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래 인도에서 정병은 수행생활을 하는 승려가 마실 물을 담던 수행도구의 하나였습니다. 5세기 초 관음보살이 버드나무가지와 맑은 물을 중생에게 받은 후‚ 그들의 병을 치료해 주었다는 내용이 실린 『청관세음경請觀世音經』이 중국에 알려지면서‚ 정병은 승려의 생활용기에서 불교의 의식구儀式具로 그 의미와 기능이 확장됩니다. 이후로 관음보살상 중에는 정병과 버드나무가지를 들고 있는 양류관음보살상도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정병은 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금속기뿐 아니라 도자기로도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대부분의 금속제 정병에는 문양이 없지만‚ 문양이 표현된 경우에는 입사入絲기법을 이용해 물가의 풍경을 묘사한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 나타납니다. 포류수금문은 버드나무가지가 늘어진 물가에서 헤엄치는 새들과 배를 탄 사람 등을 묘사한 서정적인 문양입니다. 이 문양은 금속제 정병과 향완은 물론 청자 정병과 대접에도 보여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한 문양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포류수금문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고려만의 독특한 문양이었다고 보입니다. 『고려도경』을 보면 귀족과 관리들‚ 사찰과 도관道觀‚ 민가에서 물을 담을 때 모두 정병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인도에서는 승려의 생활용기였던 정병이 고려에서는 모든 계층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병이 된 것입니다. 이는 정병의 성격이 불교공예품이면서 또한 생활용품으로도 이용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이번 전시를 위해 전시품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가풍경 무늬 정병>(국보 92호)의 주구 뚜껑과 병목 윗부분을 덮은 은제 장식에는 금도금을 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함께 전시되는 신안에서 발굴된 정병은 그동안 은제로 알려졌는데‚ 분석 결과 은이 아니라 주석과 납의 합금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존과학팀의 도움으로 밝혀진 이러한 결과는 이번 전시에서 얻은 커다란 성과로‚ 앞으로 금속공예를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