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2011년2월28일]구제역 매몰지 사후관리대책 발표

추천0 조회수 8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11년2월28일]구제역 매몰지 사후관리대책 발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1-02-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2월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구제역 가축매몰지 사후관리대책에 대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철저한 사후관리로 더 이상의 2차 피해는 반드시 막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구제역 발생이 진정국면에 접어들고 백신접종이 완료됨에 따라 사후관리체제를 비상상황체제로 전환하였다고 밝히고‚ 김 지사는 매몰지 관리는 물론 침출수와 악취‚ 상수원과 지하수 등에 대한 관리대책을 소상하게 밝히고‚ 축산재건에 대한 비전도 함께 제시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괴담 수준으로 떠돌던 각종 루머들을 일시에 잠재우고‚ 도민들의 막연한 우려와 불안을 완전 해소하기로 하였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28일 안동에서 구제역이 첫 발생한 이후 2월 27일 현재 도내 가축 매몰두수는 전체 사육두수의 18%인 41만두이고‚ 매몰지는 18개 시군‚ 1‚092개소에 이른다. 매몰지당 가축수는 평균 380두로 이는 전국평균인 766두의 절반으로 다급한 실정 속에서도 현장 매뉴얼을 철저히 지키려 애쓴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매몰지의 80% 이상이 낙동강 상류인 안동‚ 영주 등 북부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이 중에서도 취수원이나 낙동강 인접 매물지가 98개소에 이르러 상수원 오염 우려가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따라‚ 김 지사는 도민들이 우려하는 매몰지 유실이나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결코 일어나지 않도록 2중 3중의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히고‚ 먹는 물은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거듭 강조하였다. 매몰지‚ 2중 3중의 방어막 구축으로 철저하게 관리 경북도는 매몰지 사후관리를 위해 전국에서 가장 먼저 환경특별관리단을 신설하고 민관합동의 환경관리자문단과 기동조직인 환경특별기동대를 구성하는 등 현장위주의 전방위적인 관리추진체계를 구축하여 가동하고 있다. 또한‚ 매몰지별 책임관리제도를 도입해서 도청간부와 시군공무원을 책임공무원으로 지정‚ 수시점검하고 있다.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현장 환경에 따라 매몰지를 특별‚ 중점‚ 일반으로 구분한 것도 눈에 띈다. 도에 따르면 특별 관리되는 매몰지는 정부 조사에 따라 확정된 우심지역‚ 상수원 취수원 상류 7km 이내 매몰지‚ 대량 매몰지 등 172개소다. 또한 중점 관리되는 매몰지는 106개소‚ 일반관리는 767개소에 이른다. 김관용도지사는 특별관리 매몰지는 앞으로 매일매일 점검하고 수질검사를 월 2회 실시하고‚ 침출수는 주기적으로 추출해서 하수처리장 등을 통해 처리할 것이며‚ 침출수 유출 여부를 관측하게 될 관측정도 단계적으로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우심지역과 대량 매몰지는 천막하우스를 3월초에 설치하고‚ 매몰지 유실과 침출수 유출 등의 방지하기 위한 보강공사도 3월 20일까지 완료하여 봄철 해빙기와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중점관리 매몰지는 일일점검‚ 수질검사 월2회‚ 미생물 수시투입과 침출수를 추출하고‚ 일반관리는 주1회 점검과 주기적인 복토‚ 미생물 수시 투입으로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도는 침출수 추출의 경우 모든 매몰지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축산분뇨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처리시설이 있는 지역은 강산성(PH5이하)이나 강알칼리성(PH10이상)으로 만들어 처리하고 처리시설이 없는 지역은 톱밥을 투입하거나 위탁업체에서 처리케 한다. 김 지사는 토양지하수 오염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1단계로 대량 매몰지와 취수원 인근 52개소에 3월 중 관측정을 설치하고‚ 2단계로 우심매몰지 121개소에도 우수기 이전에 관측정을 설치하기 위해 추경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상수도 보호구역내 매몰지는 한 군데도 없어 현재 도민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먹는 물 걱정이다. 김 지사는 상수도 보호구역 내에는 매몰지가 한 군데도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매몰지가 낙동강 수계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조금도 방심하지 않고 식수원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낙동강 수계의 수질측정망을 66개소에서 84개소로 25% 확대하고 검사항목도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등을 추가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취수원이나 낙동강에 인접한 매몰지 98개소에 대해서는 차수벽‚ 배수로‚ 옹벽 등 2중 3중의 방어선을 구축하고 유실 우려가 있는 경사지나 대량 매몰지는 3월 중에 보강공사를 완전히 끝내 도민들의 불안을 해소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매몰지 주변 지하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월 1회에서 2회로 강화하고 매몰지 반경 300m이내의 지하수 1‚222개소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폐공을 하거나 대체관정을 마련하여 조치할 계획이며‚ 매몰지 주변지역에 상수도공사도 조기에 완공해서 식수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1차분 642억원을 확보해서 6월까지 공사를 완료하고‚ 2차분으로 국비 330억원을 추가로 확보해서 먹는 물 걱정을 완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제2의 축산혁명 경북에서 반드시 해낼 것 이번 구제역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사람은 축산인임은 말할 것도 없다. 현재까지 살처분에 따른 피해액만 3‚400여억 원으로써 축산웅도로 자부하던 경북의 축산기반이 붕괴직전에 놓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축 재입식은 이동제한이 풀리고 난 30일 후부터 가능하며‚ 다소 차이는 있으나‚ 오는 5월초가 되면 대부분의 농가에서 재입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입식자금도 연리 3% 2년거치 3년 균분 상환조건으로 특별융자하게 된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구제역의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현장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방역모델을 정립할 것이라고 역설하고‚ 무엇보다 이번 희생을 새로운 축산모델을 구축하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현장에서 책임진다는 각오로 축산 CEO 양성‚ 축산단지 현대화 등 미래 축산모델을 창출해서 축산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구축하여야 하므로 중앙정부에서는 법적·제도적 기반을 반드시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문했다. 작성일 : 2011-02-28 15:40:11.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